지금도 인력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 안정된 일자리를 찾는 청년과 중장년.
서울시가 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해답을 내놨습니다.
단 3년이면 1,224만원 적립까지 가능한 ‘서울형 이음공제’ 제도, 지금 알아두지 않으면 늦습니다.
특히 청년+중장년을 동시에 채용한 기업은 576만원까지 환급 혜택도!
지원 규모는 한정되어 있으니, 아래 버튼 눌러 꼭 확인하세요.
서울형 이음공제란?
서울 소재 중소·중견기업이 서울시민 청년(19~39세)과 중장년(50~64세)을 신규 채용할 경우,
정부·서울시·기업·근로자가 함께 적립금을 넣고, 근로자는 3년 뒤 목돈을 수령하는 고용유지형 지원제도입니다.
공제 구조와 혜택은?
서울형 이음공제는 매달 총 34만원을 3년간 적립하는 구조입니다.
총 1,224만 원 + 복리 이자가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기업은 부담한 금액 전액 환급받을 수도 있어 실질 부담 0원입니다.
납입 주체 | 월 납입금 |
---|---|
근로자 | 10만원 |
기업 | 8만원 |
서울시 | 8만원 |
정부(중진공) | 8만원 |
총합 | 34만원 × 36개월 = 1,224만원 + 이자 |
기업이 받을 수 있는 고용지원금
청년과 중장년을 ‘쌍으로’ 동반 채용해 1년 이상 고용을 유지하면,
기업이 납부한 부담금(월 16만원) 전액 환급받는 추가 인센티브도 제공됩니다.
채용 쌍 수 | 1년 환급액 | 최대 지원 기간 | 총 환급 가능액 |
---|---|---|---|
1쌍 | 192만원 | 3년 | 576만원 |
최대 3쌍 | 576만원 | 3년 | 1,728만원 |
참여 조건 및 신청 방법
✅ 신청 주체:
신청은 기업이 주체가 되어 진행해야 하며, 근로자는 개별 신청할 수 없습니다.
기업이 근로자 관련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 서울시 및 중진공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 신청 방법 요약:
- ① 회원가입: 중진공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기업회원으로 가입
- ②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
- ③ 마이페이지 접속: → ‘지자체 협약 신청서 제출’ 클릭
- ④ 지자체 구분 선택: ‘25년 서울형 이음공제’ 선택
- ⑤ 신청서류 첨부: 서울시에서 요구하는 모든 서류를 첨부 후 제출
✅ 제출 서류 목록:
- 사업 신청서 (기업/근로자)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각각 제출)
- 주민등록등본 (근로자)
- 4대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 근로계약서 (정규직 확인용)
- 사업자등록증
- 국세 및 지방세 납세증명서
- (법인 기업의 경우) 법인등기부등본
✅ 신청 경로:
- 온라인: 중진공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 우편: 경남 진주시 영천강로 167 이노휴먼시티 4층, 성과보상처 공모형 담당자 앞
📌 TIP: 지자체 신청 메뉴얼(붙임 3) 기준에 따라 홈페이지 내 정확한 메뉴 위치까지 확인 가능하며, 신청은 선착순 마감이므로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분께 강력 추천!
✔ 괜찮은 정규직 일자리 찾는 청년
✔ 재취업 기회가 필요한 중장년
✔ 인재는 필요하지만 인건비가 부담되는 기업
✔ 인재 유지와 브랜딩 효과까지 챙기고 싶은 중소기업
Q&A
Q1. 이 제도는 누구에게 가장 유리한가요?
A.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우수 인재를 채용하고 싶은 중소기업, 그리고 안정된 정규직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 및 중장년에게 적합합니다.
Q2. 중도에 퇴사하면 어떻게 되나요?
A. 퇴사 사유에 따라 환급 대상이 달라집니다. 근로자 귀책이면 기업이 일부 수령하고, 기업 귀책이면 근로자가 전액 수령합니다.
Q3.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도 가능한가요?
A. 중장년의 경우 재채용이나 비정규직도 인정됩니다. 단, 4대 보험 가입이 필수입니다.
Q4. 동반 채용하지 않고 청년만 채용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단, 고용지원금 환급(192~576만 원)은 동반채용 시에만 해당됩니다.
Q5. 제도가 복잡한데 어디서 자세히 볼 수 있나요?
A.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든 서류 양식과 절차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꼭 확인 후 신청하세요.
맺으며
서울형 이음공제는 단순한 지원금을 넘어, 기업과 인재 모두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입니다.
특히 인건비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겐 인재 확보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선착순으로 접수 마감되므로 지금 바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라이프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군산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 신청방법·대상·사용처 총정리 (0) | 2025.08.05 |
---|---|
2025 주민세 납부 방법 (feat. 위택스) (1) | 2025.08.05 |
전기차 보조금 및 세액공제 신청 방법 (3) | 2025.08.05 |
2025년 연봉 두 배 올리는 이직 전략 (6) | 2025.08.04 |
2025년 투자 초보를 위한 수익 전략 5가지 (3) | 2025.08.04 |